6부 - 숨겨진 문, 열리지 않은 진실

6부 — 금지된 문 앞에서 집 안에서 가장 미묘한 긴장감을 뿜어내는 공간은 언제나 ‘금지된 곳’이었다. 주방과 거실, 스터디룸과 정원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지만,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 끝에 자리한 작은 문만큼은 달랐다. 그 문은 늘 잠겨 있었고, 열쇠를 가진 사람이 누구인지도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문틀에는 오래된 패드락 자국이 남아 있었고, 문 하단의 틈새로는 바람이 스치듯 먼지가 흘러나왔다. 다은은 매일 청소를 하면서도 그 문 앞에서 손길을 멈췄다. 걸레로 먼지를 닦아내는 일은 반복했지만, 안쪽의 세계를 상상할수록 오히려 더 닦아야 한다는 강박이 생겼다. “이 집은 완벽해야 해. 내가 닦지 않으면 누군가 흔적을 남길지도 몰라.” 그녀는 장갑 낀 손으로 문을 스쳤고, 얇은 금속의 차가움이 손끝을 타고 올라왔다. 어느 날은 아이들이 그 문 앞을 지나며 무심코 물었다. “여긴 뭐 하는 데예요?” 차인정은 대수롭지 않게 대답했다. “그냥 창고야. 필요 없는 물건들 두는 곳.” 그러나 아이들의 눈빛은 순간 호기심으로 번뜩였다. 금지된 것은 언제나 매혹적이니까. 다은은 아이들이 계단을 내려오지 못하게 일부러 소음을 냈다. “위로 올라가렴, 곧 저녁 준비할 거야.” 그날 밤 그녀는 오랫동안 뒤척이며 생각했다. ‘창고라면 왜 굳이 잠가 둘까. 왜 문틈에서 사람 냄새 같은 것이 스멀스멀 새어 나오는 걸까.’ 성호 역시 그 문을 스쳐 지나갈 때마다 발걸음을 늦췄다. 전기공으로 일하던 그는 작은 소리에도 민감했다. 문 안쪽에서 새어 나오는 미세한 전류음, 마치 오래된 보일러가 가동될 때 나는 소리와 비슷했다. “단순 창고라면 이런 소리가 날 리가 없지.” 그는 속으로 중얼거렸다. 그러나 직접 열어 확인하기에는 위험이 너무 컸다. 이 집의 신뢰를 잃는 순간, 그들의 계획 전체가 무너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금지된 문은 이제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네 가족 모두의 머릿속에 뿌리내린 의문이었다. 그 문을 열어야만 더 큰 그림을 알 수 있을 것 같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