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부 — 심장의 방
문 앞에서
29부에서 눈부신 빛을 거부하며 눈가리개로 진실을 지켜낸 우리는 드디어 마지막 문 앞에 섰다. 문은 돌이 아니라 심장처럼 울렁거렸다. 표면이 마치 고동치듯 미세하게 떨렸고, 가까이 다가가자 귓가에 심장 박동 같은 진동이 퍼져왔다. 문 위엔 짧은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 “심장을 열어야 증언은 완성된다.”
의사가 낮게 중얼거렸다. “이제는 더 이상 감각이 아니야. 이번 방은 우리 존재 자체를 요구한다. 목소리도, 눈도, 귀도 아닌… 심장.” 지현은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그렇다면 이건 마지막 증언이자 최종 심판이야. 우리가 증언자라면, 결국 자기 심장을 열어 보여야 해.”
심장의 울림
문이 열리자, 방 안은 완전히 비어 있었다. 아무 장치도, 아무 가구도 없었다. 대신 벽 전체가 심장처럼 붉게 빛나며 박동을 반복하고 있었다. 우리 다섯 명이 들어서는 순간, 박동은 우리 각자의 심장과 동조되듯 강약을 바꿨다.
은서가 놀란 듯 가슴을 움켜쥐었다. 그녀의 가슴 안에서 뭔가가 당겨지는 느낌이 들었다. 곧 벽에 글자가 떠올랐다. “아버지의 목소리를 네가 감당할 수 있겠는가?” 은서의 눈가에 눈물이 고였다.
노래하는 자의 심장 위에도 다른 문장이 떠올랐다. “너의 노래는 증언인가, 변명인가?” 그는 입술을 깨물었다. 행동하는 자의 가슴에선 또 다른 문장이 피어났다. “네 상처는 증거인가, 폭력인가?”
방은 우리 각자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었다. 증언자로서의 마지막 확인이었다.
심장을 열다
기록하는 자가 가장 먼저 무릎을 꿇고 가슴을 열 듯 두 손을 벌렸다. 그의 심장 위에서 오래된 잉크 자국이 글자로 변했다. “나는 기록했다. 내가 남긴 것은 거짓이 아니다.” 벽이 그의 글씨를 받아 적으며 붉은 빛을 더 강하게 뿜었다.
노래하는 자도 마침내 눈을 감고 노래를 흘려냈다. 소리는 없었지만, 그의 심장 위에서 빛이 노래처럼 퍼졌다. “내 노래는 고통이었고, 동시에 증언이었다.” 행동하는 자는 자신의 팔에 남은 흉터를 드러내며 심장을 두드렸다. “내 상처는 폭력의 흔적이자, 살아남았다는 증거다.”
의사는 오랜 침묵 끝에 고개를 떨구었다. “나는 치료와 조작 사이에서 방황했다. 그러나 이제 증언한다. 나는 피해자이자, 증언자다.” 그의 가슴에서도 붉은 문장이 피어났다.
은서의 차례
마지막은 은서였다. 그녀의 심장 앞에 가장 거대한 문장이 나타났다. “네 아버지 박해문, 그는 증언자인가, 설계자인가?” 은서는 두 손을 떨며 가슴을 움켜쥐었다. “아버지는… 두 사람이었어요. 피해자이자, 가해자. 증언자이자, 설계자.” 그녀의 목소리는 떨렸지만 단단했다. “그러나 나는 아버지의 그림자가 아니라, 내 이름으로 증언하겠습니다.”
그 순간, 그녀의 심장 위에서 밝은 빛이 폭발했다. 벽 전체가 흔들리며 하나의 거대한 글씨를 새겼다. “증언은 완성되었다.”
출구와 새로운 세계
방의 박동이 멈추자, 돌문이 다시 열렸다. 이번엔 이전과 달리 차가운 어둠이 아니라, 따뜻한 빛이 흘러나왔다. 그 빛은 눈부시지 않았고, 오히려 우리를 부드럽게 감쌌다.
우리가 걸어 나온 곳은 낯선 도시의 광장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고, 그들은 우리를 바라보고 있었다. 설계자의 상징이었던 무한대 표식은 땅에 무너져 있었고, 대신 새로운 글귀가 광장 중앙에 떠올랐다.
“거짓은 반복된다. 그러나 증언은 남는다.”
지현이 낮게 속삭였다. “우린 끝낸 게 아니야. 이제 시작이야. 증언이 퍼져야 세상이 바뀐다.” 은서는 눈물을 닦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네, 이제 우린 모두 증언자가 되었어요.”
30부, 마지막 방은 이렇게 끝났다. 심장을 열어 증언을 완성한 우리는 더 이상 피해자가 아니었다. 스스로를 증명하는 증언자가 되어 새로운 세계의 첫 광장에 서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