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부 — 심장의 방
문 앞에서 29부에서 눈부신 빛을 거부하며 눈가리개로 진실을 지켜낸 우리는 드디어 마지막 문 앞에 섰다. 문은 돌이 아니라 심장처럼 울렁거렸다. 표면이 마치 고동치듯 미세하게 떨렸고, 가까이 다가가자 귓가에 심장 박동 같은 진동이 퍼져왔다. 문 위엔 짧은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 “심장을 열어야 증언은 완성된다.” 의사가 낮게 중얼거렸다. “이제는 더 이상 감각이 아니야. 이번 방은 우리 존재 자체를 요구한다. 목소리도, 눈도, 귀도 아닌… 심장.” 지현은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그렇다면 이건 마지막 증언이자 최종 심판이야. 우리가 증언자라면, 결국 자기 심장을 열어 보여야 해.” 심장의 울림 문이 열리자, 방 안은 완전히 비어 있었다. 아무 장치도, 아무 가구도 없었다. 대신 벽 전체가 심장처럼 붉게 빛나며 박동을 반복하고 있었다. 우리 다섯 명이 들어서는 순간, 박동은 우리 각자의 심장과 동조되듯 강약을 바꿨다. 은서가 놀란 듯 가슴을 움켜쥐었다. 그녀의 가슴 안에서 뭔가가 당겨지는 느낌이 들었다. 곧 벽에 글자가 떠올랐다. “아버지의 목소리를 네가 감당할 수 있겠는가?” 은서의 눈가에 눈물이 고였다. 노래하는 자의 심장 위에도 다른 문장이 떠올랐다. “너의 노래는 증언인가, 변명인가?” 그는 입술을 깨물었다. 행동하는 자의 가슴에선 또 다른 문장이 피어났다. “네 상처는 증거인가, 폭력인가?” 방은 우리 각자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었다. 증언자로서의 마지막 확인 이었다. 심장을 열다 기록하는 자가 가장 먼저 무릎을 꿇고 가슴을 열 듯 두 손을 벌렸다. 그의 심장 위에서 오래된 잉크 자국이 글자로 변했다. “나는 기록했다. 내가 남긴 것은 거짓이 아니다.” 벽이 그의 글씨를 받아 적으며 붉은 빛을 더 강하게 뿜었다. 노래하는 자도 마침내 눈을 감고 노래를 흘려냈다. 소리는 없었지만, 그의 심장 위에서 빛이 노래처럼 퍼졌다. “내 노래는 고통이었고, 동시에 증언이었다.” 행...